보 도 자 료

(배포) 2019. 8. 15(목)

즉시 사용

담당

국무조정실 일반행정정책관실

과장 김종진, 사무관 박현수

(044- 200- 2089, 2091)

국가보훈처 예우정책과

과장 강만희, 사무관 박예진

(044- 202- 5580, 5585)



이낙연 국무총리, 광복군 합동묘역 및 이시영 선생 묘소 첫 참배

-  광복절 74주년을 맞아 애국선열들의 헌신에 감사 -


□  이낙연 국무총리는 8월 15일(목) 오전, 광복절 74주년 맞아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서울시 강북구)에 있는 광복군 합동묘역과 이시영 선생 묘소참배했습니다.


* (참석) 보훈처 차장(이병구), 강북구청장(박겸수), 이시영 선생 유족


□  이 총리는 지난 1월 손병희 선생 묘소와 2월 백범 김구 선생 묘소, 3월 한용운·오세창 선생 묘소를 참배한 데 이어, 대한민국 국무총리로서는 처음으로 광복군 합동묘역과 이시영 선생 묘소를 참배했습니다.


ㅇ 오늘 참배는 광복절을 맞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셨던 애국선열들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 위해 이뤄졌습니다.


□ 광복군 합동묘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거나 순국한 17위의 합동묘입니다.


ㅇ 중국에서 무장독립투쟁 활동을 하던 광복군의유골을 동료가 수습하여 귀국한 후, 후손이 있는 경우 국립묘지에 안장하였으나 후손이 없어안장되지 못한 선열을 위해 1967년 (사)한국광복군동지회에서 합동묘를 조성했습니다.


* (안장자) 김성률, 김순근, 김운백, 김유신, 김찬원, 동방석, 문학준, 백정현, 안일용, 이도순, 이한기, 이해순, 전일묵, 정상섭, 조대균, 현이평, 한휘

- 1 -


□ 성재 이시영 선생은 서울 출생으로 1905년 신민회를 조직하고 구국운동을 벌였으며, 1910년 가족 50여명을 이끌고 중국 유하현(柳河縣) 추가가(鄒家街)로 망명했습니다.


ㅇ 1911년 경학사와 신흥강습소 설립을 주도하고 1912년 신흥강습소를신흥무관학교로 발전시켰으며, 1919년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법무총장, 재무총장 등을 재임하셨습니다.


ㅇ 이에 대한 공훈을 인정받아 1949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받았습니다.


□ 한편, 정부는 그간 국가차원의 관리가 미흡했던 국립묘지 외독립유공자의 묘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갈 계획입니다.


ㅇ 이와 관련하여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 주기적 실시, 묘소 정보 시스템 개발, 합동묘역의 국가관리묘역 지정‧관리, 묘소 미확인 독립유공자 유족 DNA 채취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붙임) 1.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 현황
2. 광복군 합동묘역 현황
3. 이시영 선생 공적사항


- 2 -

붙임 1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 현황


구분

성명

서훈

묘역면적

비고

수유리 애국선열

묘   역

(16기)

이시영

대한민국장

700평

등록문화재

제516호

김창숙

대한민국장

500평

등록문화재

제518호

이  준

대한민국장

4,800평

등록문화재

제514호

신익희

대한민국장

600평

등록문화재

제520호

손병희

대한민국장

3,000평

등록문화재

제515호

여운형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300평

등록문화재

제530호

(우이동 소재)

신숙

독립장

600평

조병옥

독립장

2,500평

김병로

독립장

300평

유림

독립장

700평

김법린

독립장

500평

김도연

애국장

700평

신하균

애국장

100평

양일동

애족장

700평

서상일

애족장

300평

이명룡

대통령장

70평

(통일교육원 소재)

복군 합동묘역

1기

(17위)

200평

광복군동지회 조성

※ 광복군 합동묘소(’67.4.27.조성) : 광복군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 또는 순국한 17위 합동묘

- 3 -

붙임 2

광복군 합동묘역 현황

□ 안장자 개요

○ 안장자 : 광복군 무후선열 17위

* 김성률, 김순근, 김운백, 김유신, 김찬원, 동방석, 문학준, 백정현, 안일용, 이도순, 이한기, 이해순, 전일묵, 정상섭, 조대균, 현이평, 한휘


○ 조  성 : 1967년, (사)한국광복군동지회에서 합동묘 마련

* 중국에서 무장독립투쟁 활동을 하던 대한민국임시정부 정규군 광복군의 유골을 동료가 수습하여 귀국한 후, 후손이 있는 경우 국립묘지에 안장
하였으나 후손이 없어 안장되지 못한 유골을 위해 1967년 합동묘 마련


○ 추모식 : 매년 5월 29일 한국광복군무후선열 17위 추모제전 실시,

(사)한국광복군동지회 주관


□ 묘역 현황

○ 묘역 개요

-  위    치 : 서울시 강북구 수유4동 산127- 1

-  규   모 : 660

-  관 리 자 : (사)한국광복군동지회

-  기타시설 : 광복군추모조형물(2018년 건립(강북구) 및 현충시설 지정)


○ 묘역 사진

묘역

비석

안내판

 
 
 
 
 
 

- 4 -

붙임 3

이시영 선생 공적사항


 성재 이시영선생


ㅇ 성    명 : 이 시 영(李 始 榮)

ㅇ 생몰일자 : 1869.12.03 ~ 1953.04.17

ㅇ 훈    격 : 대한민국장(1949)

ㅇ 본    적 : 서울

 

ㅇ 공적사항

-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뒤 비밀결사 신민회를 조직하고 구국운동을 벌임

-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친형 이회영 등의 가족 50여 명을 이끌고 중국 유하현 추가가로 망명

-   1911년 유하현 삼원보에서 교육진흥과 독립군양성을 목적으로 경학사와 신흥강습소 설립을 주도

-  1912년 통화현 합이하에서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로 발전시킴, 신흥무관학교는 1920년 폐교될 때까지 3,500여 명의 독립군 간부를 배출했으며, 청산리독립전쟁의 주축을 이룸

-  1913년 북경에서 중국의 원세개총통을 통하여 동삼성의 한교문제를 원조하는데 기여

-  1919년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해 법무총장, 재무총장 등으로 재임

-  1929년 한국독립당 감찰위원장, 1933년 가흥에서 임시정부 국무위원겸 법무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1934년 감시만어를 저술하여 한국사의 주체성을 고취

-  1935년 한국국민당 감사, 1938년부터 임시정부 국무위원, 재무부장,의정원의원 등을 역임하며 1945년 8월까지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활동

-  1949년 정부에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