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조정실 |
보 도 자 료 |
|
보도 일시 |
2023. 2. 9.(목) 15:30(회의종료시) 이후 사용 |
배포 일시 |
2023.2.8.(수) 16:00 |
담당 부서 |
국무조정실 |
책임자 |
과 장 |
김민성 |
(044- 200- 2148) |
<총괄> |
개발협력총괄과 |
담당자 |
서기관 |
이민숙 |
(044- 200- 2159) |
ODA 온기로 글로벌 한파(위기)를 이겨내고, 개도국과의 상생발전을 주도해 나가겠습니다! - 윤석열 정부, ODA를 통한 ‘글로벌 중추국가’ 위상 강화 - |
- 한덕수 국무총리, 제44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주재 - |
[’23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올해 ODA 총규모 4조 7,771억원(전년대비 21.3%, 8천4백억원↑), 역대 최대 증가폭 - 기재‧외교부 등 45개 기관에서 1,840개 사업을 통해 총 92개 개도국 지원 인도적 지원, 보건, 기후, 디지털 분야 지원 확대로 글로벌 현안 대응 선도 부산 이니셔티브, 한국형 인도태평양전략 등 대외정책과의 연계 강화로 ODA와 대외정책간 시너지 창출 [아프리카 개발협력전략] ODA 분야 중위 전략인 권역별 맞춤형 전략 최초 수립 - 개발협력(ODA) 잠재력 및 향후 협력관계 발전가능성 고려 → 아프리카 선정 對아프리카 지원 규모를 ‘30년까지 2배 이상 확대(‘19년(약 5,400억원) 대비) 당면 위기 극복, 성장동력 확충, 미래 도약의 3대 전략목표 아래, [5개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수정안] 라오스, 베트남,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의 국가협력전략* 수정** * 중점협력국별 중점협력분야, 분야별 협력방향 등을 담은 중장기 ODA 지원 전략 ** 신정부 수립 등 수원국 정치‧사회 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략 수정 필요 수원국 개발수요·우리 강점을 반영, 보건·디지털·그린 등 핵심 분야 위주 지원 강화 |
□ 한덕수 국무총리는 2월 9일(목)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4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를 주재하였다.
* 「국제개발협력기본법」에 따라 국제개발협력 관련 주요 정책을 심의‧조정하는 기구
* 참석 : ▵(위촉위원) 최재훈, 오준, 장현식, 원용걸, 강민아, 안상훈, 김성규, 박정숙, 윤주희, 최아름 위원
▵(당연직위원) 기재부‧교육부‧외교부‧농식품부‧복지부‧환경부‧해수부, 국조실, 한국수출입은행, 한국국제협력단
□ 이번 위원회에서는 올해 추진할 정책 방향과 세부 사업계획을 담은 「’23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아프리카 지역 맞춤형 지원전략인 「아프리카 개발협력전략」, 개도국의 수원 상황 변화를 반영한 「5개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수정안」 까지 총 3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하였다.
ㅇ 안건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23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확정액 기준)
□ 정부는 ’23년 시행계획을 통해, 올해 ODA 사업 총 규모를 작년보다 8,388억원(21.3%) 증가한 4조 7,771억원으로 확정하고,
ㅇ 45개 기관(12개 지자체 포함)에서 총 1,840개의 사업(’22년 1,756개)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ㅇ 올해 우리 ODA 사업 총 규모는 ▵국제사회에 대한 우리 정부의 기여 확대 의지 ▵코로나19 지원을 위한 국제기구 요청에 따른 차기 약정액(‘24~’26년) 조기 집행 등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우리나라는 올해 총 92개 수원국 및 56개 국제기구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제3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21~’25)’에 따라 지역별로는 아시아(38.5%), 아프리카(19.4%) 지역을 중심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ㅇ 분야별로는 교통(13.1%), 보건(12.9%), 인도적 지원(11.0%) 순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특히 분쟁·기후변화·감염병·식량 등 글로벌 위기에 대한 대응을 위해 인도적 지원을 크게 확대*하기로 했다.
* 인도적 지원 규모 : (‘22년) 3,163억원 → (’23년) 4,036억원(전년대비 27.6%↑)
ㅇ 또한, 우리 ODA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총 128건, 294개 ODA 사업들간 연계‧조정을 추진하였고, 앞으로도 계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14) 21건, 47개 → (’16) 40건, 89개 → (‘18) 34건, 81개 → (’20) 123건, 283개 → (‘22) 98건, 246개
□ 정부는 “글로벌 중추 국가”라는 국정 목표 달성 및 글로벌 가치 실현을 위해 최근 국제적으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인도적 지원·기후·식량·보건·디지털 등 분야를 중심으로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ㅇ 또한, 부산 이니셔티브*,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 등 주요 대외전략과의 연계를 통해 대외전략과 ODA간의 정합성을 제고하고,
* 국제박람회기구 총회 계기 글로벌 현안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 프로젝트 발표(‘22.11월) → ①기후변화 ②디지털 격차 ③보건 위기 ④식량안보 ⑤인력양성 분야 중심 국가별 맞춤형 협력 제안
ㅇ 국가별 맞춤형 지원 및 연수·기술협력 등 역량강화 사업 확대를 통해 수원국 중심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유도하는 데도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2. 아프리카 개발협력전략
□ 정부는 발전 잠재력이 높고 우리와의 협력 중요성이 증가하는 아프리카와의 개발협력을 효과적으로 추진해 나가고자 「아프리카 개발협력전략」을 수립하였다.
ㅇ 정부는 지난 10년간 對아프리카 ODA를 2배 이상 확대*하는 등 지원을 강화해 왔으나, 대륙 전체를 포괄하는 전략적 접근은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 아프리카 ODA 규모(총지출) : (’12) 2.6억불 → (’21) 5.9억불
ㅇ 이에 정부는 동 전략을 통해 對아프리카 지원규모를 ’19년 대비 ’30년까지 2배 이상 확대하여 아프리카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지원하고, 한- 아프리카 중장기 협력 기틀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 아프리카는 54개국 중 33개국이 최저개발국으로, 다수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상황도 ‘심각’ 단계*이나, 구체적 지원수요는 국가별 발전수준과 위기요인에 따라 상이한 상황이다.
*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빈곤, 기아, 보건 등 14개가 ‘심각’ 단계(사하라 이남 평균, UN, '22)
□ 이에 정부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다양한 수요를 맞춤 지원하기 위해
3단계 전략목표와 10대 중점지원분야를 설정*하고, 선택과 집중을 위해 10대 분야별로 핵심 지원지역을 설정하였다.
* 전략목표(중점분야) : ①당면 위기 극복(보건, 식량, 난민) ②성장동력 확충(농수산업, 산업화, 도시화) ③미래 도약(인적역량, 기후변화, 디지털, 평등·신뢰사회)
ㅇ 예를 들어,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북부에는 에너지 및 디지털 분야를, 기후 위기가 심각한 동부 최저개발국에는 식량, 농업, 기후대응 분야를 중점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 권역별 핵심 지원분야(종합) >
구 분 |
북 부 |
서 부 |
중 부 |
동 부 |
남 부 |
최저 개발국 |
- |
보건, 난민, 농수산업, 인적역량 |
보건, 식량, 난민, 기후변화 |
보건, 식량, 농수산업, 인적역량, 기후변화 |
보건, 농수산업 |
중소득국 |
산업화, 기후변화, 디지털, 평등·신뢰사회 |
산업화, 도시화, 인적역량, 디지털, 평등·신뢰사회 |
산업화, 평등·신뢰사회 |
산업화, 도시화, 인적역량, 디지털 |
산업화, 기후변화 |
□ 정부는 전략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 역량강화 등 비용 효과성이 높은 사업과 가시성 높은 대형 프로젝트 등을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ㅇ 특히, 병원 등 인프라 구축 지원 시에 역량 강화 등을 결합 지원해 단발성 지원이 아닌 중장기 관점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되게 하고,
ㅇ 중점협력국*과 분야별 파급효과가 큰 협력거점을 중심으로 모범사례를 창출**하여 성과를 확산해 나갈 것이다.
* 가나, 르완다, 세네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탄자니아
** (예) 가나 건강보험제도 지원 → 보건환경이 유사한 주변국(토고ㆍ베냉 등)으로 확산
□ 앞으로 정부는 「아프리카 개발협력전략」에 부합하는 사업을 통해 동 전략을 이행하는 한편, 아세안, 중남미 등 타 권역별 개발협력전략도 순차적으로 마련해나갈 예정이다.
3. 5개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수정안
□ 정부는 제3기 중점협력국(27개국) 중 최근 정치상황 변동 및 신규 국가발전전략 수립 등 환경이 변화한 베트남, 라오스,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등 5개 국가와의 국가협력전략*을 수정하였다.
* 국가협력전략(Country Partnership Strategy ; CPS) : 개별 중점협력국에 대하여 중점협력분야, 분야별 협력방향 등을 담은 중장기 ODA 지원 전략
□ 이번 수정안은 수원국 개발수요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자 수원국 심층 분석 및 수원국과의 긴밀한 협의 결과를 토대로 마련하였으며,
ㅇ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으며 최근 지원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보건, 디지털, 환경 분야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중점협력분야* 및 지원방향을 수정하였다.
* 중점협력국별 양자 ODA 예산 중 70% 이상을 동 분야에 집중 지원할 예정
< 국가별 중점협력분야 >
국가명 |
중점협력분야 |
|
수정 前 |
수정 後 |
|
베트남 |
교통, 물관리·보건위생, 교육, 공공행정 |
교통, 보건위생, 환경, 교육, 공공행정 |
라오스 |
물관리·보건위생, 에너지, 지역개발, 교육 |
물관리, 보건위생, 에너지, 지역개발, 교육 |
탄자니아 |
물관리·보건위생, 교통, 교육, 에너지 |
물관리·보건위생, 교통, 교육, 에너지, 지역개발 |
에티오피아 |
교통·에너지, 지역개발, 물관리·보건위생, 교육 |
교통·에너지, 지역개발, 물관리·보건위생, 교육 |
우간다 |
보건위생, 교육, 지역개발 |
보건위생, 교육, 지역개발 |
□ 앞으로 5개 국가의 국가협력전략을 토대로 국가별 지원사업을 발굴·추진할 예정이며, 나머지 중점협력국의 환경 변화에도 적시 대응하여 국가협력전략을 수정해 나갈 계획이다.
4.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신임 민간위원 위촉장 수여
□ 한편, 이날 한 총리는 위원회 직전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신임 민간위원 전원(12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하였다. (상세명단은 붙임2 참고)
* 「국제개발협력기본법」에 따라 위원장은 총리가 되고,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위원장이 위촉(임기2년)
ㅇ 신임 민간위원들은 학계, 시민단체, 정책‧현장 전문가 등 ODA에 대한 종합적인 식견과 전문성을 가진 분들로 위원회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붙임 1) 국제개발협력위원회 개요
(붙임 2)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위촉위원 명단
(붙임 3) ’23년 국제개발협력 현황(확정액 기준)
담당 부서 |
국무조정실 |
책임자 |
과 장 |
김민성 |
(044- 200- 2148) |
<총괄> |
개발협력총괄과 |
담당자 |
서기관 |
이민숙 |
(044- 200- 2159) |
담당자 |
사무관 |
양희경 |
(044- 200- 2162) |
||
담당 부서 <시행계획> |
국무조정실 |
책임자 |
과 장 |
김민성 |
(044- 200- 2148) |
개발협력총괄과 |
담당자 |
사무관 |
임효진 |
(044- 200- 2161) |
|
국무조정실 |
책임자 |
과 장 |
조민호 |
(044- 200- 2164) |
|
사업연계조정과 |
담당자 |
사무관 |
강현수 |
(044- 200- 2166) |
|
담당 부서 |
국무조정실 |
책임자 |
과 장 |
최병석 |
(044- 200- 2157) |
<아프리카> |
개발협력전략과 |
담당자 |
사무관 |
선우세원 |
(044- 200- 2207) |
담당 부서 |
국무조정실 |
책임자 |
과 장 |
최병석 |
(044- 200- 2157) |
<국가협력전략> |
개발협력전략과 |
담당자 |
사무관 |
정인희 |
(044- 200- 2158) |
무상 주관 |
외교부 |
책임자 |
팀 장 |
강윤호 |
(02- 2100- 6971) |
<공동> |
개발전략과 |
담당자 |
사무관 |
허혜정 |
(02- 2100- 6973) |
유상 주관 |
기획재정부 |
책임자 |
과 장 |
신준호 |
(044- 215- 8710) |
<공동> |
개발금융총괄과 |
담당자 |
사무관 |
이홍석 |
(044- 215- 8713) |
붙임 1 |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개요 |
□ (목적) 국제개발협력과 관련된 주요 정책을 심의ㆍ조정하고, 국제개발협력 관련 정책 및 사업의 추진 실적ㆍ성과를 평가
* 『국제개발협력위원회규정(대통령령)』에 근거하여 ’06.1월 설치하였으며, 현재는 『국제개발협력기본법(’10.1.25 제정)』에 따라 설치·운영
□ (설치근거)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제7조(국무총리 소속)
□ (구성) 국무총리(위원장), 당연직(16명), 위촉직(12명)
구 분 |
구 성 |
위원장(1) |
국무총리 |
당연직(16) |
국조실장, 기재부장관, 교육부장관, 과기정통부장관, 외교부장관, 행안부장관, 문체부장관, 농식품부장관, 산업부장관, 복지부장관, 환경부장관, 여가부장관, 국토부장관, 해수부장관, 한국수출입은행장, 한국국제협력단이사장 |
위촉직(12) |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 위원장이 위촉 |
* 산하에 실무위원회(위원장: 국조실 국무1차장) 및 평가전문위원회(위원장: 국조실 국제개발협력본부장) 설치‧운영
□ 주요 기능
ㅇ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주요 정책의 총괄 심의·조정
-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5년 단위) 및 연간 종합시행계획, 국가협력전략(CPS), 국제개발협력 관련 법·제도, 유·무상 및 양자·다자 원조사업 간 연계·협력, 인력양성 등 주요 정책 심의·조정
ㅇ 국제개발협력 관련 정책·사업의 추진실적 평가
- 연간 통합평가계획 수립 및 시행, 평가 결과 심의 및 환류
붙임 2 |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위촉위원 명단 |
성 명 |
사 진 |
주요 경력 |
최재훈 |
|
• UAE 왕립병원 최고운영책임자 • 서울대학교 병원 자문위원 • 現 페트라인텔리전스 고문 • 現 뉴로소나 고문 |
오준 |
|
•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의장 • OECD DAC 개혁패널의원 • 주 유엔대사 • 現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이사장 |
장현식 |
|
• 한국국제협력단 상임이사 • OECD 사무국 Visiting Expert • 現 국제개발협력학회 고문 • 現 강원대 국제무역학과 초빙교수 |
이화용 |
|
•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 現 한국국제협력단 자문위원 • 現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 |
원용걸 |
|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前 한국국제금융학회 회장 • 現 한국국제경제학회 부회장 • 現 서울시립대 경제학부 교수 |
강민아 |
|
• 現 국제개발협력학회장 • 감사원 감사위원 • 現 G20 자문기구 W20 한국대표 • 現 이화여대 사회과학대 행정학 교수 |
안상훈 |
|
• 기획재정부 부총리 자문관 • OECD 선임 이코노미스트 • 세계은행 자문관 • 現 한국개발연구원 (KDI) 선임연구위원 |
김성규 |
|
• KOICA 상임연구원 •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 前 국제개발협력학회 회장 • 現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센터장 |
박정숙 |
|
• EDCF 자문위원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객원교수 •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한국대표 • 現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사무총장 |
김태균 |
|
•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 한국국제협력단 민간 비상임이사 • UNESCO 컨설턴트 • 現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윤주희 |
|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중앙회 위원 • KOICA 민관협력 정례협의회 위원 • 現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위원 • 現 하트- 하트재단 인터내셔널 사무총장 |
최아름 |
|
• UN World Summit Award 수상 • 現 ’닷(Dot)‘ 소셜임팩트 디렉터(‘15년~) - 닷, 점자 및 촉각 디스플레이 개발스타트업 - KOICA, 케냐‧인도 CTS 사업 수행 |
붙임 3 |
|
’23년 국제개발협력 현황(확정액 기준) |
□ (총 규모) ’23년 ODA 확정액 규모는 약 4조 7,771억원으로,
총 45개 기관 1,840개 사업 추진
ㅇ (ODA 규모) ‘22년 3조 9,383억원 대비 8,388억원 증가(21.3%↑)
ㅇ (참여기관) ‘22년 44개 기관 대비 1개 기관 증가(2.3%↑)
ㅇ (사업 수) ‘22년 1,756개 대비 84개 사업 증가(4.8%↑)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총ODA(십억원) |
2,635.9 |
3,048.2 |
3,200.3 |
3,427.0 |
3,754.3 |
3,938.3 |
4,777.1 |
|
양자간원조 |
2,130.0 |
2,387.7 |
2,493.8 |
2,775.0 |
2,926.1 |
3,115.7 |
3,673.9 |
|
비중(%) |
(80.7) |
(78.3) |
(77.9) |
(81.0) |
(77.9) |
(79.1) |
(76.9) |
|
|
유상원조 |
954.5 |
1,058.1 |
1,141.2 |
1,184.9 |
1,258.2 |
1,230.5 |
1,503.0 |
|
비중(%) |
(44.8) |
(44.3) |
(45.8) |
(42.7) |
(43.0) |
(39.5) |
(40.9) |
|
무상원조 |
1,175.5 |
1,329.6 |
1,352.6 |
1,590.1 |
1,667.9 |
1,885.2 |
2,170.9 |
|
비중(%) |
(55.2) |
(55.7) |
(54.2) |
(57.3) |
(57.0) |
(60.5) |
(59.1) |
다자간원조 |
505.9 |
660.5 |
706.5 |
651.9 |
828.2 |
822.6 |
1,103.2 |
|
비중(%) |
(19.3) |
(21.7) |
(22.1) |
(19.0) |
(22.1) |
(20.9) |
(23.1) |
□ 주요 특징
ㅇ (유형별) 총 ODA 중 양자협력 對 다자협력간 비율은 약 77:23, 유상협력 對 무상협력간 비율은 41:59 수준
- ’22년 양·다자 비율(80:20)과 대비 다자협력 비율 2.2%p 증가
* 양・다자 비율은 국제동향 및 대외정책 등과 연계하여 탄력적 운영(제3차 기본계획)
- ’22년 유·무상 비율(40:60) 대비 유상협력 비율 1.4%p 증가
ㅇ (지역별) 아시아, 아프리카 중심으로 지원
- ’22년에 비해 아시아(37.0 →38.5%), 아프리카(18.8 →19.4%) 지역의 비중이 증가하고, 중남미(7.7 →7.5%), 중동‧CIS(5.1 → 4.1%) 등 비중 감소
* ‘22년 비중(%) : 아시아(37.0), 아프리카(18.8), 중남미(7.7), 중동‧CIS(5.1), 오세아니아(0.7) 순
구 분 |
구분 |
아시아 |
아프리카 |
중남미 |
중동·CIS |
오세아니아 |
기타 |
규모(억원) |
유상 |
8,895 |
3,732 |
1,238 |
16 |
19 |
1,129 |
무상 |
5,233 |
3,394 |
1,532 |
1,486 |
229 |
9,836 |
|
총계 |
14,128 |
7,126 |
2,770 |
1,502 |
248 |
10,965 |
|
비중(%) |
유상 |
59.2 |
24.8 |
8.2 |
0.1 |
0.1 |
7.5 |
무상 |
24.1 |
15.6 |
7.1 |
6.8 |
1.1 |
45.3 |
|
총계 |
38.5 |
19.4 |
7.5 |
4.1 |
0.7 |
29.8 |
|
* 중점협력국 27개국 대상 약 79.3%(유상 84.9%, 무상 71.1%) 지원(다국가 사업 제외)
ㅇ (분야별) 교통(13.1%), 보건(12.9%), 인도적 지원(11.0%) 순이며, 인도적 지원(1.2%p) 분야가 전년 대비 다소 증가
* ‘22년 비중(%) : 보건(13.2), 교통(13.1), 인도적 지원(9.8), 교육(9.1%), 수자원 및 위생(7.7) 순
구 분 |
구분 |
교통 |
보건 |
인도적 지원 |
교육 |
공공 행정 |
농림 수산 |
수자원 및 위생 |
에너지 |
환경 보호 |
산업 |
통신 |
기타 |
규모 (억원) |
유상 |
4,287 |
2,770 |
- |
692 |
1,149 |
561 |
1,696 |
1,020 |
865 |
- |
637 |
1,352 |
무상 |
529 |
1,963 |
4,036 |
2,541 |
1,825 |
1,989 |
351 |
462 |
588 |
1,020 |
66 |
6,339 |
|
총계 |
4,816 |
4,733 |
4,036 |
3,233 |
2,974 |
2,550 |
2,047 |
1,482 |
1,453 |
1,020 |
703 |
7,691 |
|
비중 (%) |
유상 |
28.5 |
18.4 |
- |
4.6 |
7.6 |
3.7 |
11.3 |
6.8 |
5.8 |
- |
4.2 |
9.0 |
무상 |
2.4 |
9.0 |
18.6 |
11.7 |
8.4 |
9.2 |
1.6 |
2.1 |
2.7 |
4.7 |
0.3 |
29.2 |
|
총계 |
13.1 |
12.9 |
11.0 |
8.8 |
8.1 |
6.9 |
5.6 |
4.0 |
4.0 |
2.8 |
1.9 |
20.9 |
ㅇ (형태별) 프로젝트(67.2%) 중심으로 프로그램(14.4%), 연수사업(4.3%) 등 다양한 형태로 지원
* ‘22년 비중(%) : 프로젝트(66.4), 연수사업(4.9), 프로그램·봉사단파견(3.7), 개발컨설팅(2.9) 순
구 분 |
구분 |
프로젝트 |
프로그램 |
연수사업 (장학지원포함) |
봉사단 파견 |
민관협력 |
개발 컨설팅 |
행정비용 |
기타 기술협력 |
기타 |
규모 (억원) |
유상 |
14,001 |
1,029 |
- |
- |
- |
- |
- |
- |
- |
무상 |
10,703 |
4,245 |
1,589 |
1,059 |
873 |
854 |
452 |
72 |
1,862 |
|
총계 |
24,704 |
5,274 |
1,589 |
1,059 |
873 |
854 |
452 |
72 |
1,862 |
|
비중 (%) |
유상 |
93.2 |
6.8 |
- |
- |
- |
- |
- |
- |
- |
무상 |
49.3 |
19.6 |
7.3 |
4.9 |
4.0 |
3.9 |
2.1 |
0.3 |
8.6 |
|
총계 |
67.2 |
14.4 |
4.3 |
2.9 |
2.4 |
2.3 |
1.2 |
0.2 |
5.1 |
< 분야별 비중(기타 제외) > |
< 형태별 비중(기타 제외) > |
|
|